CS2 가상화와 관련한 내용들을 알아보자 알고 있는 내용을 정리하고 기록하기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도커는 프로세스 가상화 도구이다. 리눅스의 리소스 격리 기능인 cgroups와 파일 레이어를 쌓아올리는 union file system을 활용하여 컨테이너를 구성하고 있다. 하이퍼바이저와 자주 비교되는데, 하이퍼바이저는 OS 자체를 가상화하는 도구이다. 하이퍼바이저는 타입 1과 타입 2로 구분되는데, 타입 1의 경우는 하드웨어 위에 하이퍼바이저를 두고, 그 위에 OS를 띄우는 방식이고 타입 2의 경우에는 하드웨어 위 OS 위에 하이퍼바이저를 두고, 그 위에 OS를 띄우는 방식이다. 하이퍼바이저 타입 1으로는 리눅스의 kvm-qemu, 마이크로소프트의 hyper-v가 유명하며, 타입 2의 경우에는 vmware의 virtualbox 등이 유명하다. 도.. 2025. 6. 22. rfc를 알아보자 Request For Comments, RFC는 인터넷 표준이 등재되는 곳이다.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가 인터넷 표준을 주로 등재하고 있다. 기존에 존재하는 문서를 임의로 삭제하거나 수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나, 새로운 문서를 통해 갱신(update) 또는 폐기(obsolete)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문서들마다 갱신되었음, 또는 폐기되었음에 대한 정보가 추가된다. RFC 표준으로는 Internet Standard, Draft Standard, Proposed Standard 3가지로 이루어져 있다.Internet Standard는 반드시 지켜져야 하는 인터넷 표준을 가리킨다. TCP, HTTP/1.1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Draft Standard는 어느 .. 2025. 5.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