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네트워크

rfc를 알아보자

by slowcloud_ 2025. 5. 22.

Request For Comments, RFC는 인터넷 표준이 등재되는 곳이다.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가 인터넷 표준을 주로 등재하고 있다.
 
기존에 존재하는 문서를 임의로 삭제하거나 수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나, 새로운 문서를 통해 갱신(update) 또는 폐기(obsolete)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문서들마다 갱신되었음, 또는 폐기되었음에 대한 정보가 추가된다.
 
RFC 표준으로는 Internet Standard, Draft Standard, Proposed Standard 3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Internet Standard는 반드시 지켜져야 하는 인터넷 표준을 가리킨다. TCP, HTTP/1.1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Draft Standard는 어느 정도 사용되고 있으나, 검증이 필요한 표준을 가리킨다. 현재는 rfc6410에 의해 더 이상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하였으며, 기존의 문서만이 유지되고, 없어지고 있다.
Proposed Standard는 기능 상의 문제는 없으나, 아직 검증이 필요한 표준을 가리킨다. 여기에 HTTP/2, HTTP/3, Oauth 2.0 와 같은 비교적 최근에 제시된 기능들이 존재하고 있다.
 
RFC 문서에는 카테고리가 존재하며, Standard Track 카테고리가 인터넷 표준에 속한다. 이 이외에도 Best Current Practice, Informational, Experimental, Historic, Unknown 등의 카테고리가 존재한다.
 
RFC는 누구나 작성할 수 있다. 인터넷 표준 이외에도 정보성 문서 등이 draft 상태로 다양하게 올라오고 있으며, IETF 산하 IESG가 문서를 확인하고 RFC로 등재하고 있다.
 
RFC를 소개하는 문서도 존재한다. 2019년도에는 RFC의 50년 역사를 정리한 문서인 rfc8700가 등재되었으며, 인터넷 표준 등재 방식을 정리한 rfc2026도 존재한다.
 
누구나 작성할 수 있는 만큼, 만우절 문서도 존재한다. 2025년도에는 rfc9759 문서가 만우절 문서로 등재되었다. 내용은 모든 시간 측정 단위를 2주일로 변경한다는 내용이다.

참고

RFC 문서 사이트 - https://www.rfc-editor.org/
RFC 표준 목록 - https://www.rfc-editor.org/standards